한의학에서 치아는 뼈와 같이 신(腎)이 주관을 합니다. 위아래 잇몸은 각각 족양명 위경, 수양명대장경과 통하는 곳입니다. 위의 치아나 잇몸이 아플 때는 찬 음식을 좋아하고 아래 치아나 잇몸이 아플 때는 뜨거운 음식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둘다 싫어하면 풍(風)으로 인한 치통으로 봅니다.
치통은 위(胃)에 있던 습열이 잇몸 사이로 올라갔을 때 풍한에 감촉되거나 찬 것을 마셔서 울체 되어 통증이 생기는 것이다. 외용으로는 맵고 따뜻한 약으로 문지르고 양치해야 한다. 근본에는 열이 있기 때문에 속으로는 맵고 서늘한 약을 써서 열을 발산시켜야 한다. [단심]
치아를 문지를때는 사전소거산을 통용한다.
수양명대장경의 지맥이 이에 들어가니 맥이 막히면 이가 뜨고 허하면 이가 드러나며 풍을 끼면 치밀어 올라 아프고 감닉이 되면 충치가 되거나 빠진다. [직지]
치통이 있을 때 입을 별려 바람을 맞으면 통증이 심해지는 것은 위 속에 풍사가 있기 때문이다.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은 적열이 있기 때문이다. 잇몸이 붓고 아픈 것은 위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치아가 아프면서 흔들리는 것인 신(腎)이 허하기 때문이다. [의감]
바람을 들이마시면 통증이 심해지고 입을 벌리면 악취가 나는 경우 당귀연교음을 쓴다. [회춘]
한증일 때는 치아가 튼튼하면서도 아프고, 열증일 때는 치아가 흔들리고 잇몸이 드러나면서 아프다. [동원]
찬 것을 만나면 통증이 심해지면 한증이고, 서늘한 바람을 들이마시면 통증이 멎는 것은 열증이다. [강목]
치통, 치은염의 7가지 원인
1. 풍열통(風熱痛)
외부의 풍사(風邪)가 내부의 열과 부딪쳐서 생기는 치통입니다.
과거에는 감기 같은 바이러스 감염질환들의 원인을 풍사로 보았습니다.
잇몸이 붓고 아프며 고름이 나오고 악취가 난다고 합니다.
서각승마탕을 사용합니다.
2. 풍랭통(風冷痛)
잇몸이 붓지 않고, 벌레도 먹지 않았는데 날이 갈수록 치아가 흔들리는 경우입니다.
온풍산을 사용합니다.
3. 열통(熱痛)
위장에 열이 누적되어 잇몸이 붓고 문드러지며 입냄새가 나는 것.
위에 열이 있어 생긴 치통은 찬 것을 좋아하고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
양격산에 지모, 석고, 승마를 가합니다.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치통이 있을 때는 찬물로 자주 양치한다.
4. 한통(寒痛)
찬 기운이 침범하여 두통, 치통이 발생합니다.
강활부자탕, 갈초산, 세신산을 쓴다.
5. 독담통(毒痰痛)
열 때문에 담이 생기고 독기가 치밀어 올라 경락으로 들어가면 치통이 생긴다. 기침, 가래가 있다.
이진탕에 세신, 지각, 생강, 대조, 오매
6. 어혈통(瘀血痛)
풍열이 잇몸을 협공한다.
피가 나오고 엉겨서 막혀 풀리지 않는다.
송곳으로 찌르는 듯이 아프다.
서각지황탕, 가감감로음에 승마를 가한다.
7. 충식통
음식을 먹은 다음 청결하게 하지 않으면 이와 잇몸에 구멍이 생기고 벌레가 파먹는다.
벌레를 죽여야 하픈 것이 멎는다.
일소산, 초염산, 봉와산, 정통산을 쓴다.
치아관리에 사용했던 약재
백반(명반)
치아가 붓고 아플 때
고백반을 노봉방과 같은양으로 하여 가루 내어 물고 있다가 뱉는다.
소금
이 뿌리가 드러나고 치아가 흔들리는 것을 치료한다.
소금가루로 양치하고 뜨거운 물로 100여 번 양치하면 튼튼해진다.
잇몸에서 피가 나올 때는 소금을 넣고 끓인 물로 양치한다.
승마
치아가 붓고 아프며 이 뿌리가 들뜨고 문드러져 농혈이 나올 때.
달여먹고 자주 양치한다.
세신(족두리풀)
풍랭으로 인한 치통을 치료한다.
세신, 백지 달인 물로 양치한다.
노봉방(말벌집)
치통을 치료한다.
노봉방 달인 물로 양치한다.
행인(살구씨)
이와 잇몸이 아플 때 행인과 소금을 달여서 양치한다.
녹용(사슴뿔)
치아를 나오게도 하고 튼튼하게 한다.
가루 내어 먹거나 환을 만든다.
'한의학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의사가 추천하는 한방 인후통 약 (0) | 2022.10.27 |
---|---|
“목에 뭐가 걸린 느낌이 나요” 매핵기에 대해서 (0) | 2022.10.24 |
입 헐었을 때 뿌리는 한방 구내염 치료약 (0) | 2022.10.20 |
동의보감에 기록된 혓바늘원인과 치료 (0) | 2022.10.19 |
한의학의 구내염, 혀염증 구미(口糜)의 원인과 약 (0) | 2022.10.18 |
댓글